조립에 앞서서 전에 말했던 부품들을 사진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.
저의 목표는 조립을 세세하게 보여드리는 게 아니기도 하고
저로서는 어려움을 겪은 부분이 아니라서
간단히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.
밑의 사진 순서대로
1. BLDC 모터 2. power distribution board
3. ESC 4. receiver ( Transmitter 사진이....)
5. LIPO battery 6. arduino nano
7. gy-521(gyro + accel)
그 외에 잡다한 아이템들!! ( 납땜, 니퍼 등등의 공구들도 당연히 필요하겠죠?)
위 사진 중 마지막에 만능기판이 있는데 저는 용산갔을 때 구매했습니다!
눈에 보이는 것중 제일 작은 것을 골랐는데
아두이노 나노가 딱 맞더라구요 ㅎㅎ
본체조립은
1. 다리 네 개와 밑 판을 조립한 다음에 power distribution board를 밑 판에 부착합니다.
저는 위 사진들 중에 보이는 빨간 색의 아름다운 케이블 타이로 고정시켰습니다.
청계천 돌아댕기다가 1000원?에 샀던 것 같네요 ㅎㅎ
이와 같이 케이블 타이로 고정!
밑 판이 검은 색인데 배송온 걸 뜯어보시면 검은 색의 판이 세 개 있는 것이 보이실 거에요
그 중 하나입니당
그리고 점퍼선 두 개를 board의 +, -에 꽂습니다. 이 두 개의 선이
아두이노에 전력을 공급해 줄 겁니다. 즉, 배터리에서 나온 전력이 보드를 타고 아두이노로 흘러가는 거죠
이 사이에서 네 개의 ESC로도 전력이 분배됩니다
2. 모터를 각 다리의 끝에 고정시킵니다.
이 사진은 다리 끝의 뒷 부분입니당
네 개의 볼트를 모터에 맞춰서 조여줍니다. 이게 가로랑 세로 길이가 달라서 잘 맞춰주셔야해요
모터를 고정시켰으면 쿼드콥터의 발이 될 부분을 조립해줍니다
근데 이 모터는 밑부분에도 샤프트가 있어서 이 발 부분을 사진과 같이 뚫어주셔야해요
집에 있던 드릴로 뚫었던 것 같네요... 집에 없는 게 없습니다 ㅎㅎ
사진에 있는 노란색, 빨간색, 검은색 선들이 무엇이냐고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
세 선은 BLDC모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선입니다. 아직 ESC조립에 대해서 사진을 안 보여드렸는데
ESC와 BLDC모터가 연결되는 부분입니다. ESC와 BLDC모터에 대해서는 타로 포스팅을 할 계획!
3. 다리에 ESC를 케이블 타이로 묶어줍니다
이 때 ESC와 power distribution board를 연결하는 두 개의 빨간, 검은색 선이 있는데 이건 밑의 그림처럼
다리에 있는 구멍을 통해 통과시켜줘서 오른쪽 그림처럼 power distribution board에 연결해줘야 합니다.
네 개 다!
모터랑도 연결해주고 그 선들도 예쁘게 케이블타이로 연결하면
밑에 사진처럼 됩니당
근데 갑자기 변덕이 생겨버려서 모터-ESC선들이 다리 위에 있는 것보다
밑에 있는게 더 예뻐보이더라구요 그래서 밑 사진처럼 했슴돠
그렇게 앞의 과정들을 완료한 후에 두 번째 검은 판을 올려주면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
(사실 사진 순서들이 순서대로 찍은게 아니라서 모터와 ESC선이 안 꼽힌 것도 있고...)
이렇게 조립은 어느정도 마무리 되었습니다.
다음 포스팅에서는 회로도와 납땜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.
'자율주행드론연구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450mm급 아두이노 드론 만들기] : 2 - 조립 (4) | 2016.05.31 |
---|---|
[드론 만들기 번외 - 부품이론] : 1-2 모터종류와 제어기-BLCD 모터편 (0) | 2016.05.03 |
[드론 만들기 번외 - 부품이론] : 1-1 모터종류와 제어기-Brushed 모터편 (0) | 2016.04.25 |
[230mm급 아두이노 Brushed 모터 드론 만들기] :1 - 부품 (0) | 2016.04.21 |
[450mm급 아두이노 드론 만들기] : 1 - 부품 (2) | 2016.04.21 |
아두이노 드론 만들기 : Introduction (0) | 2016.04.20 |
-
박민창 2016.08.29 11:45
안녕하세요 아두이노로 드론을 제작하려 하는 학생입니다. 아두이노를 만져보는게 처음이라 여기저기 책도보고 검색하면서 알아보고 있는데요, 아두이노 드론 만들고 직접 코딩하기란 책을 봤는데 거기선 250같아보이는데 아두이노 나노 프로? 를 사용하더라구요. 저는 450으로 만들려고하는데 450도 아두이노 나노를 사용해도 상관없나요?